[팜뉴스=이권구 기자]  제약바이오기업을 포함해 국내 기업들에게도 ESG가 최대 화두로 부상한 가운데, EU(유럽연합)가 2024년부터 기업 ESG 보고를 의무화할 예정이어서, 유럽 진출 및 수출 기업들이 이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ESG는 기업 활동이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기업이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말한다.

코트라 벨기에 브뤼셀무역관이 16일 낸 보고서(박초영)에 따르면 유럽에서도 ESG 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며 기업들이 이 수요에 반응해 각종 ESG 상품 및 마케팅을 내놓으며 소비자들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ESG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 지표가 부족해 이를 이용해 과장 혹은 거짓 광고하는 기업이 있다 보니 소비자 보호와 실제 ESG 수행을 위한 사회적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EU 집행위는 이에 반응해 2021년 4월 기업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을 발표, 기업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정보 공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nfrd와 csrd의 차이점>





#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이하 CSRD) 도입 

보고서에 따르면 EU에는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비재무보고지침(NFRD, Non-Financial Reporting Directive)이 이미 존재한다. 이는 환경, 사회, 부패방지, 인권, 다양성에 대한 정보 공시 규칙을 명시하는 지침이며 직원 500명 이상 상장 기업, 은행, 보험사, 그 외 공공 이익을 대변하는 기업들에 보고 의무가 발생한다. EU 내 약 1만1700개 기업을 포함한다.

하지만 NFRD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비교가능성, 신뢰성, 연관성이 부족하며 적용 범위 확대가 필요하다는 요구에 따라 집행위는 2021년 4월 이를 보완할 CSRD 안을 발표하게 됐다. CSRD는 기존 NFRD를 기반으로 지속가능성 보고 요건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CSRD가 최종 적용되면 약 5만 개 기업이 보고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기업 규모에 따라 의무사항 적용 시점이 다르다.

현재 비재무보고지침(이하 NFRD)에 따라 이미 보고 의무가 있는 기업은 2024년 규정 시행과 함께 바로 보고 의무를 가진다. 하지만 현재 NFRD에 해당하지 않는 대기업은 2025년부터, 그리고 상장된 중소기업 등은 2026년부터 적용된다.

기존에는 2023년부터 시행이 예정됐으나 CSRD와 관련된 녹색분류체계와 같은 법안이 지체되면서 1년 뒤인 2024년으로 미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CSRD는 상장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대기업(대기업 정의=EU 회계 지침 정의에 따라 근로자 수 250명 초과, 매출 4000만 유로 이상 기업 포함,초소형 기업을 제외한 상장 중소기업과 역내 순 매출이 2억5000만 유로 이상이며 EU에 자회사 혹은 지점을 보유한 비EU 기업도 해당)에 적용된다.

보고 대상 해당 기업은 재무 지표 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영향도 공시할 의무를 가진다. 즉, 기업들은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기업 사업모델 및 전략, 지속가능성 목표 및 목표 달성 현황, 관리 및 감독 기관의 역할, 실사 시행 과정 등을 EU 공통기준인 ‘EU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ESRS;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에 따라 보고하게 된다. 


# 중소기업, ESG 관련 경험·준비 부족… 일찍부터 준비 필요

보고기준은 아직 초안 단계이며 8월 8일까지 공개 의견수렴 절차가 진행된 후 10월 확정될 예정이다. 또 보고 내용은 EU 인증 표준에 따라 독립 감사원이 인증하며, 비EU 기업은 유럽이나 제3국 감사원으로부터 인증을 받을 필요가 있다.

지속 가능 보고기준 주요 보고 내용은 ‘기업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있을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모델 및 전략,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기업 opportunities, 기업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이 지속가능한 경제로 전환과 양립할 수 있게 하는 계획,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기업이 가하는 영향, 기업 이해관계자 관심을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에 어떻게 반영했는지,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기업의 전략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기업이 설정한 지속가능성 관련 목표와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이 실행하고 있는 과정,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행정, 경영관리, 내부 감시기관이 수행하는 역할,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기업 정책, 기업 밸류체인과 관련해 (자체 운영, 제품 및 서비스, 사업 관계, 공급망 포함) 실제 또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 방지 및 완화 또는 교정하기 위해 취한 조치와 그 조치 결과,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기업 주요 위험요인(해당 요인에 기업의 의존도 포함)과 위험요인 관리 방안’(집행위 CSRD안,2021.4.21.) 등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의회와 이사회가 잠정 합의한 상태로, 의회 공식 채택이 끝나면 최종안이 확정되며 지침안 채택과 함께 CSRD는 기존의NFRD를 대체하며, 회원국은 기간을 두고 이를 국내법으로 반영하게 된다.  현재 NFRD 적용을 받고 있는 대기업에는 2024년 1월부터 지침안이 적용되며 그 외 기업은 기준에 따라 순차 적용된다. 

박초영 특파원은 “ CSRD 뿐만 아니라  기업이 공급망을 통틀어 인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사업 관행에 관한 지침인 ‘공급망 실사지침’의 현황 파악도 중요하다. 공개가 아닌 관행에 초점을 두며, 금융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부문의 대기업에 의무를 부과한다”며 “ 공급망 실사지침은 오는 9월부터 본격적인 입법 논의가 시작될 예정인데 개별 회원국 단위로는 프랑스, 독일 등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다. 기업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법안인 만큼 적용 범위 및 의무사항의 변동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 국내에서도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KSSB)가 ESG 공시 표준을 준비 중으로, 이는 공시 의무화에 대한 필요성과 사회적 요구 증가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자발적으로 비재무보고서를 공시하는 기업들이 증가해왔으나 중소기업 경우는 ESG 관련한 활동 증진 및 기술적 사항에 대한 경험 및 준비가 부족할 수 있어 일찍부터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권구 기자 kwon9@pharmnews.com